1164. ‘민족’ 대신‘ 겨레’라는 말이 바람직 해

  • 등록 2007.10.22 00:26:55
크게보기

1164. ‘민족’ 대신‘ 겨레’라는 말이 바람직 해

"공자가 민(民)이라는 말을 썼다.(民免而無恥. 논어2) 맹자는 임금에게 ‘백성과 함께 즐기라’(與民同. 맹자2)고 요구했다. 배달겨레 말이나 차이나 말에는 ‘민’이 있었지 민족(民族)이란 말이 없었다. 이 말[民族]은 일본말이다."라고 경상대 려증동 명예교수는 말합니다. 친일파로 꼽히는 최린이 1919년 일본말 ‘민족 자결(民族 自決)’이라는 말을 쓴 뒤 ‘민족’이란 말이 쓰이고 ‘겨레’가 잊혔습니다. 그러다가 1945년 광복이 되자 ‘겨레’라는 배달말이 다시 자라게 되어 ‘겨레’라는 신문사가 생겼고, ‘겨레체육대회’가 열렸는데 다시 친일파들이 득세하자 ‘겨레’가 힘을 잃고 ‘민족’이 살아났다고 합니다.
,br> ‘민족’이란 말은 이미 우리말로 굳어졌습니다. 따라서 굳이 쓰지 말자고 주장하기는 어려워졌지요. 하지만 ‘민족’이란 말이 어떻게 쓰이기 시작했는지 알면 일본말에서 들어온 ‘민족’ 대신 토박이말 ‘겨레’라는 말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