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12월 29일(금)부터 12월 31일(일)까지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을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한국 공연예술의 비약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한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돌을 기려 선보이는 대형 칸타타(교성곡)로, 각 분야 으뜸 거장인 작곡가 겸 지휘자 박범훈, 연출가 손진책, 안무가 국수호가 의기투합한다. 세종이 직접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바탕으로 한 이번 공연에는 3개 전속단체인 국립창극단ㆍ국립무용단ㆍ국립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 모두 313명 출연진이 무대에 오른다.
국립극장이 남산 시대를 연 지 50년이 되는 해를 기려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을 선보인다. 1950년 서울 태평로의 부민관(현 서울특별시의회 의사당) 자리에 창립된 국립극장은 대구ㆍ명동을 거쳐 1973년 10월 17일 남산 장충동으로 터를 옮겨 개관했다. 국립극장 남산 이전은 안정적인 공연장과 연습 공간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고, 분야별 국립예술단체의 태동과 완성도 높은 공연예술 작품의 탄생까지 이끌었다.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은 국립극장이 한국 공연예술계의 창의적 협업의 중심으로서 자리매김하기까지 지난 50년을 돌아보며 준비한 무대다.
기념작인 만큼 한국 공연예술계의 살아있는 역사이자, 각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세 거장, 작곡가 겸 지휘자 박범훈, 연출가 손진책, 안무가 국수호가 제작진으로 나선다. 작품의 중심은 박범훈이 2년에 걸쳐 작곡한 미발표곡 ‘월인천강지곡’이다. 독창ㆍ중창ㆍ합창과 동서양의 관현악이 결합한 칸타타(교성곡)로, 서곡과 8개 악장으로 구성된다. 초연의 지휘는 작곡가 박범훈이 직접 맡는다. 작품의 극적인 선율을 끌어내 경건하면서도 웅장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연출가 손진책이 극 공연 못지않은 무대ㆍ영상ㆍ조명ㆍ의상 등을 조화롭게 펼쳐내는 가운데 안무가 국수호가 완성한 다채로운 움직임까지 더해져 통념을 깨는 현대적인 무대를 완성한다. 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오케스트라가 합쳐진 관현악단 97명을 중심으로 합창단 174명, 창극단 11명, 무용단 31명 등 출연자만 313명에 달하는 초대형 무대가 될 예정이다.
작품은 567년 전 세종대왕이 직접 쓴 『월인천강지곡』을 바탕으로 한다. ‘마치 달이 천 개의 강에 비추는 것과 같다’라는 의미를 지닌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먼저 떠난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한글로 지은 찬불가로, 석가모니의 전 생애를 담고 있다. 훈민정음 창제 직후인 가장 이른 시기에 활자로 간행됐다는 점에서 초기 국어학과 출판인쇄 역사에서 사료적 값어치가 커 국보로 지정됐다. 제작진은 월인천강지곡에 녹아든 군주로서의 외로움과 지아비로서의 지고지순한 순정, 한글이 만백성에게 전파되기를 바란 마음에 주목, ‘사랑’과 ‘화합’에 방점을 찍는다.
현재도 유효한 보편적 값어치를 전하기 위해 노랫말 작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작가이자 시인으로 활동하는 박해진이 작사를 맡아 원문의 ‘도솔래의’를 ‘흰 코끼리 타고 오신 세존’으로 풀어쓰는 등 지금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쉬운 노랫말로 만들었다. 연출을 맡은 손진책은 “600여 년 전 노래가 동시대 관객에게 와 닿게 하고, 칸타타지만 총체성을 띤 무대로 지금껏 보지 못한 신선한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밝혔다.
작품을 이끌어가는 세존(석가모니의 다른 이름)과 소헌왕후역은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 김준수와 이소연이 각각 맡았다. 이 밖에도 세종역의 김수인을 비롯해 민은경ㆍ유태평양 등 창극단 주역 배우들이 무대에 올라 다양한 인물을 노래한다. 30여 명의 국립무용단원은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분신으로서 우아하면서도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관객의 몰입을 높인다. 세종이 그러했듯, 달빛이 모든 이에게 비추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으로 한 해를 뜻깊게 마무리해 보자.
예매ㆍ문의 국립극장 누리집(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