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5. 전화로 3년상을 치른 순종

  • 등록 2007.12.20 00:36:12
크게보기

1215. 전화로 3년상을 치른 순종

유교의 영향이 컸던 우리나라는 부모가 돌아가시고 나서 3년상을 치르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부모님의 묘소 옆에 초막을 짓고 살면서 아침저녁으로 음식을 올리며, 살아계실 때처럼 섬기는 것이지요. 얼마 전엔 현대판 3년상이 텔레비전에 방영되어 관심을 끈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전화로 3년상을 치른 일도 있었다지요. 조선의 마지막 임금 순종은 아버지 고종과 어머니 명성황후의 묘소인 홍릉에 맘대로 갈 수가 없자 매일 아침 전화를 걸어 곡을 했습니다. 내관이 송화기를 들고 홍릉으로 신호를 보내면 능지기가 수화기를 봉분에 가져다 댑니다. 그러면 순종이 곡을 시작했다고 하지요.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부모님의 3년상을 정말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입니다. 지금이야 옛날처럼 3년상을 치를 수는 없겠지만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 효도하는 것은 3년상보다 더욱 종요로운 일입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