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0. 고려 때에도 온 나라엔 소나무가 많았다

  • 등록 2007.12.26 09:39:56
크게보기

1220. 고려 때에도 온 나라엔 소나무가 많았다

“광주(廣州)ㆍ양주ㆍ영주 등 3주에는 큰 소나무가 많다. 소나무는 두 종류가 있는데, 다만 다섯 잎이 있는 것만이 열매를 맺는다. 나주도(전라도)에도 있으나, 삼주(三州)의 풍부함만 못하다. 열매가 처음 달리는 것을 솔방[松房]이라 하는데, 모양이 마치 모과와 같고 푸르고 윤기가 나고 단단하다가, 서리를 맞고서야 곧 갈라지고 그 열매가 비로소 여문다.”

위는 송나라 사람 서긍이 쓴 ≪고려도경≫ 토산(土産)편에 나오는 글입니다. 서긍은 소나무가 광주 등 3주에 많다고 하였지만 이는 온 나라를 제대로 돌아보지 못한 탓이라 여겨집니다. 또 “다섯 잎이 있는 것만 열매를 맺는다”라고 했는데 원래 소나무 잎은 잎자루에 두 개만 달린 것이며 다섯 잎이 달린 잣나무를 착각한 듯합니다. 고려 때에도 온 나라에 얼마나 소나무가 많으면 서긍 같은 이가 책에도 기록할 정도였을까요?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