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악기 가운데엔 아쟁(牙箏)이 있는데 7현으로 된 현악기의 하나입니다. 활로
줄을 문질러 연주하는데, 현악기 가운데 가장 좁은 음역을 가진 저음 악기이지요.
원래 7줄이지만 요즈음에는 10줄로 만들기도 합니다. 거문고보다 큰 몸통에 긁은
줄을 얹고, 개나리 나무로 만든 활대에 송진을 바르고 줄을 문질러 소리를 냅니다.
조선 전기에 이미 향악에서 쓰였는데 국악기 중 합주 때 저음역을 담당하는 악기로
관악합주에도 해금과 함께 편성됩니다. 아쟁은 서양음악의 콘트라베이스처럼 음악
전체를 감싸 안고 깊이를 더해줍니다.
요즘 아쟁산조를 연주하거나 창극·춤음악·민요 따위의 반주나 민속무용의 반주에
자주 사용되는 산조아쟁은 궁중음악보다 가락이 많고 속도가 빠른 곡을 연주하기에
줄과 줄 사이가 좁고 줄의 굵기도 정악아쟁보다 가늘며 전체 길이도 짧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