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오는 11월 28일(금), 인문정신연수원에서 「2025년 종가문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학술대회」를 연다. 올해 학술대회는 ‘종가문화, 지역을 넘어 세계의 유산으로’를 주제로, 한국의 종가문화가 지닌 인문정신적 값어치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찾는다.
전통에서 미래로, 한국 인문정신의 길을 잇다

종가문화는 예(禮)와 덕(德)을 바탕으로 공동체의 질서와 조화를 지켜온 한국 인문정신의 원형으로 평가된다. 제례ㆍ효문화ㆍ식문화ㆍ예절 등 일상 속 전통 실천은 ‘조화와 공존’이라는 인류 보편의 값어치를 담고 있으며 현대 사회가 잃어가는 공동체 의식을 돌아보게 하는 문화적 자산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이번 학술대회 개최를 통해 종가문화가 세계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무형의 정신문화로 확장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유네스코 등재 실무가, 문화정책 전문가, 종가문화 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발표는 ▲김미영(한국국학진흥원)의 「종가문화의 특징과 가치」를 시작으로 ▲이치억(국립공주대학교)의 「종가문화의 본질적 의미와 현재성, 그리고 미래 전망」, ▲박원모(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절차와 종가문화 등재 가능성」 등 종가문화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국제적 관점에서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다룬다.
이어 권기대ㆍ전성건ㆍ이길배ㆍ정규연ㆍ권두현 등 다양한 분야의 토론자들이 참여해 정책적 실행 가능성, 공동체 참여 기반, 문화유산으로서의 국제 확장성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마지막 종합토론에서는 심승구 교수(한국체육대학교)가 좌장을 맡아 ‘종가문화의 세계화 전략과 유네스코 등재 로드맵’을 중심으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종가문화, 한국 인문정신의 원형에서 세계 인류의 자산으로

2009년 시작되어 17회를 맞은 종가포럼은 전통문화의 현대적 의미와 사회적 확장성을 꾸준히 논의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종가문화의 보존을 넘어 ‘세계 인류와 공유할 수 있는 정신문화 자산’으로서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향후 종가문화 기록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국제 공동포럼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종가문화의 세계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과 동시에,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연구 기반과 정책적 전략을 구체화함으로써 종가문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은 “종가문화는 세대를 넘어 이어져 온 한국인의 도덕적 삶의 방식이자 중요한 인문정신의 근원”이라며 “이번 학술대회가 전통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정립하고, 그 정신을 세계와 나누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