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5. 재물은 미꾸라지인가? 메기인가?

  • 등록 2005.03.10 15:07:48
크게보기

255. 재물은 미꾸라지인가? 메기인가?

“무릇 재물을 간직하는 비결은 남에게 베풀어주는 것만 같은 것이 없다. 도둑에게 빼앗길 것을 염려치 않아도 되고, 불에 탈까 근심하지 않아도 괜찮다. 단단히 쥐려 들면 들수록 더욱 미끄러워나가니, 재물이라는 것은 메기다.”

이글은 정약용의 ‘시이자가계(示二子家誡)’에 나오는 것인데 정민 교수는 ‘죽비소리’라는 책에서 이렇게 풀이합니다. “항상 재물이 문제다. 하나 가지면 둘이 갖고 싶고, 둘을 갖고 나면 셋이 아니라 열을 갖고 싶다. 그래서 재물 욕심은 가진 사람이 더하게 마련이다. 재물이 상전이 되어 돈 때문에 하고 싶은 일도 하지 못한다. 안 놓치려고 꽉 잡으면 잡을수록 손 사이로 빠져나가니, 재물은 미꾸라지인가? 메기인가?”

재정경제부 장관이 부동산투기 의혹 때문에 물러난 지금 새삼 생각나는 글입니다. 재물은 욕심을 부릴 때가 아니라 남에게 베풀 때만이 잘 간직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