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2. 전통한옥의 ‘맞배지붕’ 이야기

  • 등록 2005.06.25 23:48:54
크게보기

362. 전통한옥의 ‘맞배지붕’ 이야기

우리 전통한옥의 지붕에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의 3가지 기본형이 있습니다. 이중 ‘맞배지붕’은 책을 반쯤 펴놓은 것처럼 지붕의 앞면과 뒷면을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배를 맞댄 것인데 수덕사 대웅전에서 볼 수 있고, ‘우진각지붕’은 남대문처럼 맞배지붕의 양 옆면을 다시 세모꼴 모양으로 끌어내린 것을 말하며, 지붕 앞에서는 네모꼴로 옆에서는 세모꼴로 보입니다. 또 ‘팔작지붕’은 부석사 무량수전처럼 우진각지붕의 세모꼴 옆면에 다시 여덟 팔(八)자 모양을 덧붙여 마치 부챗살이 퍼지는 듯합니다.

이 외에 창덕궁 애련정처럼 처마에서부터 가운데로 지붕이 모아지는 모임지붕(사모지붕, 육모지붕, 팔모지붕)과 통도사 대웅전과 같은 T자형지붕이 있고, 전주 송광사 범종루 같이 십자형지붕 등도 있습니다. 문화유산 답사를 할 때 이런 지식을 갖추고 보면 재미있을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