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왕창세일” 보다는 “한가위마냥에누리”

  • 등록 2013.09.19 07:59:32
크게보기

한가위 날 아침에 생각해보는 우리말

[그린경제=이한영 기자]  길을 가다가 셔터를 내린 한 가게에 써 붙인 글을 보았습니다.
“추석왕창세일”
바람직하지 않은 말만 모아놓은 듯했지요.

 

   
 

먼저 추석은 5세기 송나라 학자 배인이 쓴 ≪사기집해(史記集解)≫의 “추석월(秋夕月)”이란 말에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추석월”의 뜻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게 제사를 드린다는 뜻이었지만 중국 사람들은 이 말을 쓰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래서 천자가 달에게 제사지내는 추석보다는 신라 때부터 써온 토박이말 “한가위”를 써야 할 일입니다. “한가위”는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다음 “왕창”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속되게) 엄청나게 큰 규모로”라고 풀이되었습니다. 한 마디로 “엄청나게 큰 규모”라는 뜻의 속어라는 말입니다. 속어(俗語)는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을 이르고 예전엔 “상말”이라고도 했습니다. 그래서 굳이 저속한 말 “왕창”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겠지요. 

마지막으로 “세일(sale)”은 “할인하여 판매함“이란 뜻의 영어입니다. 우리말을 놔두고 영어를 쓰는 것이야 말로 해서는 안 될 일일 것입니다. 

그러면 “추석왕창세일”란 말을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요?
“한가위마냥에누리”
좀 어색한가요?

하지만 말은 쓰기 나름이랍니다. 곧 말은 버릇에 다름 아니란 거지요. 날아다니는 탈것을 이르는 토박이말 “날틀”은 어색하지만, 늘 쓰는 “비행기”는 아무렇지도 않은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비행기” 대신 “날틀”을 끊임없이 쓰다 보면 어느 샌가 “비행기”가 어색해질 것이란 것이지요. 

한가위 아침, 우리말을 한번 생각해봅니다.

이한영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