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 강화도 갑곶돈대

  • 등록 2013.10.09 22:38:21
크게보기

강화도(사적제306호)

   
갑곶돈대는 강화8경 중 2경에 해당하며1232년부터 1270년까지 무려 38년 동안 몽고의 전쟁에 맞서 강화해협을 지키던 중요한 요새다.
 
   
 
   

 

홍이포와 불랑기 (홍이포는 우리나라 군대에서 사용하던 대포중의 하나이며 유럽사람들이 사용했던 화포라고 하여 붉은 오랑케의 화포 즉 홍이포라 하였다, 홍이포는 700미터 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맞출수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8각형의 정자인 이섭정에 오르면 돈대 아래로 김포와 강화 사이의 해협인 염하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바로 저 해협을 건너지 못해 몽고군이 되돌아가기를 여러번 이였다며 ‘갑곶’이라는 이름도 고려 때 몽고군이 염하 강을 건너지 못했을 때 ‘우리 군사들이 갑옷만 벗어서 바다를 메워도 건너갈 수 있을 텐데’라는 한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그린경제=김자영 기자]  갑곶돈대가 군대의 주둔지가 된 것은 병자호란 이후이다. 당시 나라에서는 청의 침공에 대비하여 성곽과 진, 보, 돈, 등의 군사 시설을 강화하였는데 갑곶은 숙종 5년에 이르러 제물진에 소속된 돈대로 그 모습을 제대로 갖추었다. 이곳에 대포 8문을 두고 소대 규모의 군대를 배치한 것이다. 돈대란 작은 규모의 보루를 만들고 대포를 배치하여 지키는 곳이었는데 시대를 불문하고 이곳에 돈대를 위치시킨 것은 그 만큼 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성곽의 밖은 높이 쌓아 올리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했다. 적의 동태를 정찰하기 쉽고 바다를 통해 침입하는 적들을 포격하기 쉬웠기 때문이었다. 과연 내려다 본 길에는 한 눈에 염하 강이 들어온다. 접근하는 모든 것이 한 눈에 들어오니 갑곶돈대는 과연 요새 중의 요새라는 생각이 든다.

 

 
김자영 기자 kyja46@naver.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