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3. 조선시대 18세기 후반의 의약분업과 약물 오남용

  • 등록 2006.06.18 02:06:39
크게보기

713. 조선시대 18세기 후반의 의약분업과 약물 오남용

조선시대 18세기 후반에는 돈이 돌면서 살만하니까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한양에는 수많은 의원과 사설약국들이 들어섰다고 합니다. 특히 오늘의 을지로 입구 ‘구리개[銅峴: 동현]’라고 불렀던 지역은 수많은 약재상이 몰렸습니다. 당시 민간의료는 철저한 의약분업 체계로 알려집니다. 의원이 환자를 진맥한 뒤 ‘화제’라는 처방전을 써주면, 이를 가지고 약국에 가서 약을 사서 달여 먹거나 환 따위로 만들어 먹었습니다. 그래서 유명한 의원의 화제는 비싼 값에 팔리기도 하였고, 일종의 비방처럼 유행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시에도 약의 오남용은 큰 사회문제이기도 했습니다. 의원에서는 강하고, 빠른 약효를 추구했고, 물론 환자들도 원했지요. 그러다 보니 시중에는 가짜 약재가 돌아다니고, 인삼ㆍ녹용ㆍ계피ㆍ부자의 네 가지 약재를 넣지 않으면 약을 생각하지도 않았습니다.


<참고> 한국생활사박물관10(조선생활관2), 사계절출판사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