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판 속에 보이는 우리말의 일그러진 모습

  • 등록 2014.10.09 09:36:06
크게보기

[그린경제/ 얼레빗 = 이나미 기자]

   
▲ 함바란 밥집이라는 뜻보다는 일본의 광산노동자가 죽지 못해 "밥 한술 뜨는 곳"

   

▲ '노견(路肩,로카타)의 일본말을 충실히(?) 한글로 옮긴다는 것이 직역을 해놓고 있다. 2% 부족한 한글사랑 현장

   
▲ 아직도 갓길을 '노견(路肩, 로카타)라고 쓰는 곳이 많다

   
▲ 멸치 국물 따위를 내는 주머니, 꼭 '다시백'이라 해야 하나?

   

▲ 충주휴게소의 외래어 사랑

   
▲ 동네 골목 곳곳에 이런 간판이 있다. 둘러보면 평생 외국인이 드나들 골목이 아닌데도 말이다.

   
▲ 생활한복을 개량한복이라 하는 것도 우습지만 이 집은 "계량한복" 이란다

   
▲ 아직도 대합실(待合室, 마치아이시츠)을 고집하는 곳

   
▲ 대절(貸切, 가시기리) 버스는 '전세버스'로 바꿔쓰자

   
▲ 진격(進擊, 신게키)이란 전투용어다. 크고 좋다는 뜻으로 쓰는 '진격' 등 일본말 침투가 심각하다

   
▲ 간지터진다? 간지란 '느낌'이란 일본말인데 "느낌이 좋다"라고 쓴 말일까? 언론이 해괴한 말을 만들어 써서야...

 

   
▲ 그릇 놓는 곳이라 해도 좋는데 "퇴식구"라는 어려운 말을 쓰고 있다

   

▲ 어린이 놀이터라고하면 좋지 않을까? "어린이"란 말이 사라지고 있다. 어차피 유아(젖먹이)는 놀이터에서 놀지 못하는 나이이므로 어린이라고 하는 게 좋다

 

   

▲  여전히 마이깡, 마에깡이라고 한다

 

   

▲ 독거노인보다는 홀몸노인, 홀몸 어르신이 좋지 않을까? 아래 처럼 말이다.

   
 

이나미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