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가 허풍을 떤 까닭은?

2021.07.17 11:08:42

[정운복의 아침시평 89]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제자백가(諸子百家)로 일가를 이룬 사상가가 허다하지만

가장 허풍이 세고, 황당무계한 장황설을 늘어놓은 사람이 있다면 그는 장자(莊子)입니다.

요즘으로 치면 구라 대왕, 뻥의 극치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네요.

 

그 장자의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북해에 한 물고기가 있는데 이름을 곤이라 한다.

곤은 그 크기가 몇천 리인지 알 수 없다.

이것이 변하여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을 붕이라고 한다.

 

붕의 등 넓이도 몇천 리인지 알 수 없다.

한번 노하여 날면 그 날개가 하늘에 구름을 드리운 것 같았다.

이 새는 바다가 움직이면 남명으로 이사를 한다.

남명이란 하늘 연못이다.”

 

원래 곤(鯤)이란 물고기의 배 속에 든 알이나 새끼로 참으로 작은 생명체입니다.

그것을 몇천 리나 되는 고기로 둔갑시킨 장자는 대륙의 허풍이라고 치부하더라도

그 정도가 매우 심하지요.

 

 

그가 아주 작은 것을 매우 큰 것에 비유하는 것엔 까닭이 있습니다.

매우 작은 것이나 매우 큰 것이나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곧 “크다, 작다.”라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는 것이고

모든 사물은 평등하다는 것에서 장자는 출발합니다.

 

곧 선입견이나 고정관념, 색안경,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니

뻥이 심해 입이 다물어지지 않지만, 그 우화가 주는 깨달음의 호쾌함이 존재합니다.

그것이 장자를 읽는 맛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인간의 마음은 시대를 반영합니다.

교육에 의하여 관념이 형성되고 환경에 의하여 좌우됩니다.

그것이 보편타당한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장자는 이런 고정관념을 인위(人爲)라고 규정합니다.

 

인간이 만들어 놓은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어야

소요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고,

그것이 결국 도(道)에 기반한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주장이지요.

퍽 해괴한 이야기로 다가올 수 있는 장자가 현대에도 읽히는 까닭입니다.

 

장자가 꿈꾸는 삶은

무엇에도 집착하지 않는 진정한 자유입니다.

그래서 좌망(坐忘)을 이야기하지요.

* 좌망 : 조용히 앉아 자신을 구속하는 모든 것을 잊는 것

 

요즘 유행하는 ‘멍때리기’와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장자를 읽으면 집착으로부터의 자유가 가져오는 행복이

절대 작지 않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정운복 칼럼니스트 jwb11@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