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룡사터 건물터 기단 복구ㆍ주변 정비 추진

  • 등록 2022.06.02 13:24:42
크게보기

중문 기단복구와 남쪽광장(가칭) 정비 사업 문화재수리기술위원회 조건부 승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난 5월 24일 열린 문화재수리기술위원회 심의에서 황룡사터 입구의 남문과 중문 등 6개 건물터의 기단 복구와 황룡사터 남쪽광장(가칭) 정비계획 등이 통과함에 따라 황룡사터와 주변정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 승인 조건: 별도의 기술지도 자문단 구성, 남쪽광장 담장은 시뮬레이션 후 규모결정

 

황룡사터 중문은 탱주와 면석이 있는 가구식 기단으로, 회랑터 2동은 외벌대 장대석 기단으로, 기단석 유구가 확인되지 않은 남문터와 동ㆍ서편 건물터 3동은 기단 위치를 목재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정비한다.

* 탱주: 기단 면석과 면석 사이 기둥모양의 돌

* 면석: 탑의 기단 옆면을 막아낸 돌

* 가구식 기단: 목조건축 짜맞춤 구조를 모방한 형태의 기단

 

 

 

국립문화재연구원은 그간의 발굴조사 결과와 발굴과정에서 수습된 석재유물을 바탕으로 기단 복구에 대한 고증ㆍ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를 이번 설계에 모두 반영하였다.

 

기단복구 사업은 황룡사터 안에서 시행되는 첫 번째 문화재 복구사업으로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탑터, 금당, 강당 등의 중심건물 기단복구까지 추진되면 황룡사의 규모와 배치, 각 건물의 형태와 특징 등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황룡사터 남쪽의 남쪽광장은 너비 50m 길이 500m의 대규모 공간으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한 발굴조사 결과와 관련 학술대회 내용을 바탕으로 유적지 상부를 복토(약1.0m)하고 그 상부를 당시 모습에 최대한 가깝게 재현·정비한 후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광장 상부면은 마사토로 다짐하고, 광장 남쪽 끝 지하 담장유구 상부에 담장을 일정구간 재현하고 담장 주변에는 관람객 편의를 위한 탐방로와 수목을 심을 것이다.

 

 

 

광장 남쪽 끝 담장은 광장과 광장 남측의 도시유적과의 구획과 경관 차단 목적으로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설계는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연구한 ‘황룡사 판축담장 축조기법 실험 및 설계(2014년)’ 결과를 반영하였다.

* 판축담장 : 흙을 층층이 다지며 쌓아올린 담장

 

남쪽광장이 정비되면 황룡사 진입을 현재의 측면진입 방식에서 광장-남문-중문-탑-금당-강당 순의 정면진입 방식으로 회복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 또한, ‘동궁과 월지’(옛 안압지)와 광장으로 직접 연결되고 황룡사터 동쪽과 남쪽 도시유적과의 관계성도 한층 더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사업은 경상북도와 경주시가 맡아 올해 내로 착수하게 되며, 문화재청 수리기술위원회의 승인조건에 따라 기술지도단을 구성하여 사업진행 단계별로 지도ㆍ자문을 거쳐 진행할 예정이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