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가가 자연과 관계를 맺는 또 다른 방식

  • 등록 2025.01.31 11:12:10
크게보기

서울공예박물관, 손으로 빚어낸 팔레트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난해 10월 31일부터 오는 5월 2일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서울공예박물관’에서는 기획전시 <손으로 빚어낸 팔레트>를 열고 있다. 서울공예박물관의 이곳저곳을 거닐다 보면 형형색색의 공예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각자의 쓰임에 맞게 형태를 만들어낸 것처럼 그 색깔 역시 우연에 의해 나온 것이 아니다.

 

 

각각의 작품이 품고 있는 색(色)에는 작가의 생각과 마음이 투영되어 있다. 작가는 가장 나다운 색을 찾아내기 위해 연구에 몰두하고, 원하는 색을 오롯이 작품에 입혀내기 위한 실험을 반복한다. 그 어떤 색도 단순하지 않으며 결코 손쉽게 발현될 수 없다.

 

이번 전시는 공예가들이 자신만의 색을 빚어낸 과정의 기록이자, 그 시간과 집념에 관한 이야기다. 색에 관한 연구 노트와 시편, 재료와 도구에 이르는 아카이브 자료는 마치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고유한 색들을 채워놓은 팔레트를 보는 것만 같다.

 

 

도자공예 노경조, 염색공예 이병찬, 유리공예 김헌철이라는 서로 다른 분야의 세 공예가는 모두 자연으로부터 색을 얻어 빚어낸다. 흙으로부터 색을 구워내고, 식물로부터 색을 물들이며, 유리에 투과된 빛으로 색을 더 다채롭게 빛내고 있다.

 

색을 빚는다는 것은 공예가가 자연과 관계를 맺는 또 다른 방식이다. 이들이 빚어내는 색은 우리의 일상을 풍요롭게 만들고 우리의 감각을 자극한다. 그리고 이 색은 관람객을 만나 또 다른 관계를 맺어갈 것이다. 이 전시에서는 목격한 다채로운 색을 새로이 발견하고 각자의 마음속에 고이 담아 가기를 바란다.

 

관람 시간은 아침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고, 매주 금요일은 밤 9시까지 야간개관하며, 매주 월요일은 쉰다. 입장료는 없고, 전시에 관한 문의는 전화(02-6450-7000)로 하면 된다.

 

 

 

 

 

이한영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