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산양 폐사 개체수 평균 수준 회복

  • 등록 2025.04.11 11:47:09
크게보기

국가유산청-환경부, 지난 겨울 권역별 민·관·군 협의체 구성
산양 먹이 공급과 순찰 등 확대 추진 결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산양의 겨울철 폐사를 줄이기 위해 추진했던 산양보호대책의 결과, 지난 동절기 산양 폐사 개체수를 예년 평균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두 기관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폭설 등 자연재해 발생 대비 산양보호 강화 대책」(‘24.10.28)에 따라 산양의 주요 서식지를 3개 권역(양구ㆍ화천 / 인제ㆍ고성ㆍ속초 / 울진ㆍ삼척)으로 구분하고, 권역별 민ㆍ관ㆍ군 협력체를 구성하여 다양한 보호 대책을 추진해 왔다.

* 양구ㆍ화천 권역(국가유산청), 인제ㆍ고성ㆍ속초/울진ㆍ삼척 권역(환경부)으로 담당구역을 나눠 산양 먹이 급이, 순찰 강화 등 폐사 저감을 위한 사전 예방조치 시행

 

우선 겨울철 먹이 부족으로 인한 산양의 탈진 등을 예방하고 자생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먹이급이대 모두 80곳과 폭설 때 쉬어갈 수 있는 쉼터 22개소를 운영하여, 뽕잎, 건초, 미네랄 블록 등을 약 2만 2천 톤을 공급하였다.

* 국가유산청 : 양구ㆍ화천 권역 57곳(쉼터 22개소 포함) 16,610kg 공급

환경부 : 인제ㆍ고성ㆍ속초 권역 15곳 1,832kg 공급, 울진ㆍ삼척 권역 30곳 4,008kg 공급

 

 

특히, 이번에 먹이급이대 신규 설치 때 관찰 카메라를 달아 산양의 이용 현황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양구ㆍ화천 권역의 57곳 먹이급이대는 급이대마다 평균 4마리가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제ㆍ고성ㆍ속초 권역의 먹이급이대 이용 횟수는 약 520회, 울진·삼척 권역은 약 1,200회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낮보다 야간 시간대(19시 이후)에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관찰 카메라에 찍힌 산양 사진 중 중복 촬영 사진을 제외하여 이용 횟수를 산정

 

산양의 권역별 먹이급이대 이용 현황(이용 개체수, 이용 패턴 등)은 3월까지 취합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세부적인 분석 중에 있으며 분석 완료 후 올해 11월 동절기 산양 보호대책 추진 시 먹이급이 주기와 시기 등을 반영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구조가 필요한 산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순찰도 대폭 강화하였다. 양구ㆍ화천 권역에서는 한국산양보호협회를 비롯한 민ㆍ관ㆍ군 협의체를 구성하여 ’24년 11월부터 ’25년 3월까지 모두 308회의 순찰을 하였으며, 국립공원이 위치한 인제ㆍ고성ㆍ속초 권역에서는 특별순찰대를 편성하여 같은 기간 동안 한 달 평균 161회의 순찰을 하였다.

 

 

또한, 산양의 찻길 사고 예방이나 탈진 개체 발견 신고 독려 등을 위한 현수막 설치(132개소) 및 문자 전광판 노출(150회)을 통해 지역 주민의 산양 보호를 위한 이해와 협조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권역별 협의체 조치 결과 산양 폐사 신고 개체수는 31개체(‘24.11.~‘25.3.)로 지난 겨울철 같은 기간(‘23.11.~‘24.3.) 785개체보다 약 96% 줄어들었으며, 예년 동절기 산양 폐사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 국가유산청 산양 폐사신고 통계: (‘22.11.~’23.3.) 27개체, (‘21.11.~’22.3.) 25개체, (‘20.11.~’21.3.) 21개체, (‘19.11.~’20.3.) 31개체

 

한편, 두 기관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울타리 44개소(미시령 10개소, 한계령 23개소, 기타 11개소)를 부분개방(‘24.5.~‘25.7.)하여 산양 등 야생동물 이동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연구도 진행 중에 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올해 하반기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울타리로 인한 생태계 단절, 방역효과 등의 편익 분석, 주민 불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울타리 운영·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