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4. 조선시대 옷으로 나타낸 신분

  • 등록 2008.01.25 00:19:47
크게보기

1244. 조선시대 옷으로 나타낸 신분

조선시대에는 한복 색깔로 자신의 처지를 나타냈습니다. 결혼하지 않은 아가씨는 다홍치마, 노랑저고리, 갓 결혼한 새색시는 다홍치마, 연두저고리, 결혼한 부인은 남치마, 옥색저고리를 입었지요. 그런가 하면 저고리 소매가 남색이면 아들이 있다는 표시였고, 자주색 고름을 달면 부부가 금실 좋게 해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가 하면 왕가나 명문세도가는 금박무늬를 새길 수 있었는데 오늘날 정신없는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럭셔리(luxury)'일까요? 그러나 임진왜란 뒤 신흥 양반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일반인들도 금박무늬를 옷에 새길 수 있게 됐습니다. 사진의 사규삼은 정승의 후손이 입었던 것인데 왕실에서 바느질을 하던 침선장이 지은 것입니다. 그 증거로 왕실의 금박장은 “부귀다남(富貴多男)”이란 글자를 찍을 때 '富' 자의 위 꼭지를 찍지 않았다고 합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