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3. 거문고, 그 소리가 그칠 때 빈자리를 마음이 채워준다

  • 등록 2008.03.25 04:02:51
크게보기

1283. 거문고, 그 소리가 그칠 때 빈자리를 마음이 채워준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거문고를 늘 손이 닿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걸어두고 책을 읽는 사이에 틈이 생기면 거문고를 당겨 간단한 곡조를 타곤 했습니다. 그것은 공부하다가 잠깐잠깐 잡념이나 사특한 마음이 생기는 것을 막으려고 그렇게 한 것입니다. 군자가 되는 길은 사특한 마음과 욕심을 다 털어버린 경지에 이르는 수준이기 때문에 부단히 노력하지 않으면 절대로 도달할 수 없지요. 그래서 예(禮)와 악(樂)을 다 동원하여 수양의 방편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또 사특한 마음을 없애고 욕심을 털어버리는 음악은 소리가 요란할 필요도 없으며, 사람의 마음이란 소리가 계속 울릴 때보다는 소리가 그칠 때 그 소리의 빈자리를 채워주려는 데서 마음이 자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소리가 계속 나는 관악기보다 소리가 뚝뚝 끊어지는 거문고나 가야금을 좋은 악기로 친다고 합니다.


참고 : “거문고와 관련한 음악사상의 문제”, 최종민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