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8. 옛 살림살이 뒤주 이야기

  • 등록 2008.04.16 00:28:59
크게보기

1298. 옛 살림살이 뒤주 이야기

이젠 뒤주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뒤주는 예전 조선 사람의 집이면 어디에든 있었습니다. 사도세자는 뒤주 속에서 비참한 삶을 마쳤지만 원래 뒤주는 쌀 ·콩 ·팥 따위 곡식을 담아 두는 살림살이의 하나이지요. 재료는 회화나무가 가장 좋으며, 두꺼운 통판으로 듬직하게 궤짝처럼 짜고 네 기둥에는 짧은 발이 달렸습니다. 뚜껑은 위로 제쳐서 열 수 있어서 뚜껑이 곧 문이기도 하며, 장석은 무쇠나 놋으로 해 달았습니다.

쌀뒤주는 보통 쌀 1∼2가마들이의 크기지만, 잡곡을 담던 뒤주는 3∼4말을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쌀뒤주보다 작지요. 전북 김제시 월촌면 장화리에는 조선 후기에 회화나무로 만든 약 70가마들이 대형 쌀뒤주가 있는데 이는 옛 한국 갑부들의 생활상을 알려 주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뒤주는 그 속에 쌀이 차 있던 비어 있던 우리를 든든하게 해주었습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