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4. 맺고 푸는 끈, 매듭 이야기

  • 등록 2008.04.23 23:33:51
크게보기

1304. 맺고 푸는 끈, 매듭 이야기

우리 겨레는 먼 옛날부터 장식수단으로 독자적인 맺는 기법을 익혀 왔는데 이 맺는 기법은 전통매듭으로 민속공예의 한 분야를 이루게 되었고, 궁중예식· 실내장식·국악기 장식·노리개 ·유소(깃발이나 가마에 달던 장식) 따위의 생활 전반에 걸쳐 장식 매듭으로 즐겨 써왔습니다. 고종 때 펴낸 법전인 《대전회통 (大典會通)》에 전통매듭의 끈을 치는 장인(匠人)을 ‘다회장(多繪匠)’이라고 한 기록이 있습니다.

우리의 전통매듭은 끈목으로 국화무늬·매화무늬·당초무늬·완자무늬 등 전통 무늬를 본떠 평면적인 무늬를 입체적으로 표현한 것인데 전통매듭에는 연봉매듭·생쪽매듭·석씨매듭·안경매듭·난간매듭·국화매듭·가락지매듭 따위가 있습니다. 그 특징은 완성된 매듭 모양이 앞면과 뒷면이 똑같고, 좌우는 대칭이 되며, 아무리 복잡한 매듭이라도 가운데에서 시작하여 가운데에서 끝나게 되어 있지요.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