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8. “서동요” 가·무·악이 어우러진 창극으로 공연된다

  • 등록 2008.05.14 22:16:45
크게보기

1318. “서동요” 가·무·악이 어우러진 창극으로 공연된다

“선화공주님은(善花公主主隱) / 남 몰래 정을 통하고(他密只嫁良置古) / 서동을 (薯童房乙) / 밤에 몰래 안고 간다(夜矣卵乙抱遣去如)”

위는 후에 제30대 임금(무왕)이 된 백제의 서동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민요 형식의 노래입니다. 이두(吏讀)로 표기된 원문과 함께 그 설화가 《삼국유사 (三國遺事)》 권2 무왕조(武王條)에 실려 전하는데 한국 최초의 4구체(四句體) 향가(鄕歌)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005년엔 SBS에서 드라마로 방송되기도 했었지요.

부여군충남국악단(음악감독 최경만)은 이 백제 무왕의 국경없는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 서동요를 가(歌).무(舞).악(樂)이 어우러진 형식의 창극 “서동의 노래”로 만들어 지난 2007년 제53회 백제문화제 때 초연했었는데 이를 다시 가다듬어 오는 5월 21일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서울 시민에게 선보입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