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 조선시대에도 춘화를 팔고 사고 했을까?

  • 등록 2008.07.09 00:26:01
크게보기

1358. 조선시대에도 춘화를 팔고 사고 했을까?

조선시대 사극에 종종 등장하는 춘화(春畵)는 남녀 사이의 성희 장면을 묘사한 그림을 말하는데 춘정화(春情畵)·춘의화(春意畵)·운우도(雲雨圖)라고도 합니다. 춘화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크게 나돌았지만 유교를 숭상했던 조선에서는 명나라에 간 사신을 수행했던 사람들이 간혹 숨겨 오기도 했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이후(17~18세기) 인구도 늘고 새롭게 중인 부유층이 생기면서 기방과 색주가가 많이 늘었는데 이때 점차 춘화의 판매가 성행했습니다.

19세기 중반에 창작된 민요 ‘한양가’에 보면 광통교 다리 위에 걸어놓고 파는 그림에 춘화가 있으며, ‘춘향전’의 한 이본에도 춘향의 방 안을 묘사하면서 춘화를 얘기합니다. 풍속화 대가였던 김홍도, 신윤복이 춘화를 그렸는데 중국, 일본과 달리 예술적인 격조가 있었던 우리의 춘화는 값싼 일본 춘화가 들어온 19세기 말 사라졌습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