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4. 애꾸눈 화가 최북의 다른 이름들, 호생관ㆍ칠칠이ㆍ최산수

  • 등록 2008.07.22 23:53:33
크게보기

1364. 애꾸눈 화가 최북의 다른 이름들, 호생관ㆍ칠칠이ㆍ최산수

차라리 내 자신을 자해할지언정 남에게 구속받지 않겠다며 자신의 눈을 송곳으로 찔러 애꾸가 된 최북이란 조선시대의 화가를 아시나요? 최북의 호는 ‘호생관 (毫生館)’인데 '붓(毫)으로 먹고 사는(生) 사람'이라는 뜻으로, 스스로 지은 것입니다. 또 ‘칠칠이’라는 자는 이름의 ‘북(北)’ 자를 둘로 나누어 스스로 지은 것이지요. 메추라기를 잘 그려 '최메추라기', 산수화에 뛰어나 '최산수(崔山水)'로도 불렸습니다.

그는 의미 있는 그림을 선물했을 때 반응이 변변치 않으면 두말없이 그림을 찢어 버리고, 의미 없는 그림에 기뻐하는 이가 있으면 도리어 빰을 치며 받은 돈을 돌려준 자신 그림을 정말 사랑한 사람입니다. 그 그림 가운데 ‘풍설야귀인도 (風雪夜歸無人圖)’는 ‘지두화(指頭畵)’ 곧 붓 대신에 손가락이나 손톱에 먹물을 묻혀서 그린 그림으로 그의 손놀림에 불 같은 성격과 광기가 더해져 있습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