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4. 신과 인간이 함께 먹는 헛제삿밥

  • 등록 2008.08.21 01:44:21
크게보기

1384. 신과 인간이 함께 먹는 헛제삿밥

안동지방에 가면 “헛제삿밥”이란 음식이 있습니다. 헛제삿밥은 원래 제삿날 조상신과 후손이 함께 먹는 제사용 음식입니다. 그런데 이 제삿밥이 맛이 있기에 평상시에도 일부러 제사 이 제사 때 올리는 음식들로 비빔밥을 만들어 먹었는데 이를 “헛제삿밥”이라고 합니다. 옛날에는 밥과 음식이 부족했기에 조선 시대에 살았던 몇 명의 학자들이 음식을 준비하여 헛제사를 열어 맛있는 제사음식을 즐겼다는 설과 제사를 지내지 못하는 상민들이 쌀밥이 먹고 싶어 헛제사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데서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헛제삿밥은 이제 안동지역의 중요한 향토음식이 되었습니다. 안동 헛제삿밥은 흰 쌀밥과 탕에 도라지, 고사리, 무, 시금치, 콩나물, 토란, 박 등의 익힌 나물 그리고 전류, 산적, 생선 등으로 구성됩니다. 또 헛제삿밥은 제수 음식이었으므로 양념에 파, 마늘 같은 냄새가 강한 재료는 쓰지 않았습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