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7. 편지는 조선시대 대학자들의 자식교육법의 하나

  • 등록 2008.09.24 00:33:20
크게보기

1407. 편지는 조선시대 대학자들의 자식교육법의 하나

조선시대 대학자들의 자식교육법은 바로 편지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한국 철학의 큰 봉우리인 퇴계는 아들 준에게 613여 통, 손자 안도에게 125통의 편지를 썼고 아들과 손자, 후손에게 무려 1,300여 통의 편지를 썼지요. 또 492권이라는 엄청난 책을 펴낸 다산 정약용도 유배기간 중에도 자녀교육에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습니다. 유배 18년 동안에 다산은 두 아들과 100여 통이 넘는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세상을 어떻게 살 것인지를 끊임없이 가르친 것입니다.

명문가의 자녀교육 가운데 이 시대 사람들도 써볼 만한 것은 바로 편지를 이용한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직접 손으로 구구절절이 써내려간 편지를 읽는 자녀는 부모의 사랑과 세상 살아가는 법을 절실하게 깨달을 수 있지 않을까요? 글은 말보다 가슴 속 깊은 내면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전할 수가 있기에 어쩌면 효과적인 교육법의 하나일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