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2. 국악 중 잡가를 아시나요?

  • 등록 2008.10.02 01:49:08
크게보기

1412. 국악 중 잡가를 아시나요?

국악 장르 중 성악에는 잡가라는 것도 있습니다. 원래는 경기잡가이며, 서서 부르는 선소리에 비해 앉아서 부르는 앉은소리(좌창:座唱)에 듭니다. 조선 말기에 공예인, 상인, 기생들이 즐겨 불렀는데 지금의 서울역 부근 만리동 고개와 청파동에 이르는 지역에 살던 남자 소리꾼들인 '사계축(四契軸)'에 의해 널리 보급되었다고 합니다.

잡가라는 이름은 가곡(歌曲), 가사(歌詞) 등 정가(正歌)에 대칭되는 노래라는 뜻이 있습니다. 정가는 유교의 덕목에 맞는 점잖은 노래인 데 견주어 잡가는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설적인 표현을 한다든지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적나라한 표현을 거침없이 하는 것이 그 특징입니다. 잡가가 주로 불린 지방은 경기지방으로 “경기좌창(坐唱)”이라고도 하고, 노래의 길이가 길어서 “긴잡가”라고도 하는데 서도지방에도 비슷한 형태의 잡가가 있어 이는 “서도잡가”라고 합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