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4. 조선시대 “미누라”는 존칭의 뜻

  • 등록 2008.11.03 14:32:54
크게보기

1434. 조선시대 “미누라”는 존칭의 뜻

조선시대 남편은 아내를 어떻게 불렀을까요? 부부 사이의 호칭은 순한글 편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순천김씨묘에서 출토된 16~17세기 순한글 편지를 보면 “자내 몸애 병이나 삼가 댱슈히 사소”처럼 남편이 아내를 “자내”라고 불렀습니다. “자내”는 “자네”의 옛 표현으로 봅니다.

그런가 하면 “마누라”가 쓰였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황문환 교수는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부부간 호칭과 화계’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당시의 ‘마누라’는 요즘처럼 중년이 넘은 아내를 허물없이 이르는 말인 ‘마누라’와는 달리 존칭의 뜻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1882년 흥선대원군이 부인에게 보낸 편지는 “뎐 마누라 젼”으로 시작됩니다. 이때 “마누라”는 극존대의 종결형과 함께 종종 같이 쓰여 궁중의 높은 인물을 지시하는 데 쓰이던 ‘마노라’가 호칭으로 전용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죠. 이밖에 “게”, “게셔” 등도 남편이 아내를 부르는 호칭으로 등장합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