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6. 은장도, 사행원들이 뇌물로도 썼다

  • 등록 2008.11.18 21:57:52
크게보기

1446. 은장도, 사행원들이 뇌물로도 썼다

‘은장도(銀粧刀)’는 주머니 속에 넣거나 옷고름에 늘 차고 다니는 칼집이 있는 작은 칼을 말합니다. 은장도를 차는 풍습은 고려가 원나라에 복속한 뒤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는 널리 퍼졌습니다. 보통은 여성들이 호신용으로 차고 다녔습니다만 원래는 남녀 구분없이 평복에 차는 노리개의 하나였지요.

특히 은장도는 중국에 사절단으로 가는 사행원들이 일종의 국경검문소인 책문 (柵門)에서 통관 절차를 집행하는 봉성장군(鳳城將軍)과 그 아래 사람들에게 주는 뇌물로 많이 쓰였지요. 또 사행원과 직접 접촉하는 북경 숙소의 제독(提督)이나 예부(禮部)의 관리들이 사적으로 많이 요구하였답니다. 금과 은은 당시 존비귀천을 가리는 기준이 되었기에 누구나 욕심을 냈고 그래서 사행원들은 고마움을 표하는 예물이나 뇌물의 용도로 자주 썼다고 합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