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4. 분청사기의 상감기법, 덤벙기법, 투각기법 이야기

  • 등록 2009.03.19 00:30:07
크게보기

1524. 분청사기의 상감기법, 덤벙기법, 투각기법 이야기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분청사기는 백자와 청자에 백토로 칠해 다시 구워 낸 것으로, 회청색 또는 회황색을 띠는 도자기입니다. 이 분청사기를 만드는 기법은 가장 흔한 상감기법(象嵌技法)을 비롯해서 투각기법(透刻技法), 덤벙기법, 인화기법(印畵技法), 박지기법(剝地技法), 철화기법(鐵畵技法), 귀얄기법, 조화기법(造花技法) 따위가 있습니다.

그 가운데 상감기법은 표면을 선이나 면으로 판 후 백토나 자토(裏土, 붉은 흙)를 집어넣어 무늬를 나타낸 것입니다. 또 투각기법은 도자기를 이중으로 만들어 안과 밖으로 붙인 다음 바깥부분을 무늬에 맞게 구멍을 내어 안쪽의 도자기를 볼 수 있게 만드는 기법을 말합니다. 그리고 덤벙기법은 백토물에 담갔다가 꺼내는 것이지요. 여기서 “덤벙”이란 말은 “크고 무거운 물건이 물속으로 떨어져 들어가는 소리” 곧 의성어인데 재미있는 이름입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