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8. 조선시대 육의전 상인들의 “복가지타기”

  • 등록 2009.03.25 05:57:17
크게보기

1528. 조선시대 육의전 상인들의 “복가지타기”

조선시대 육의전에는 상인들이 공동으로 모시는 재신당(財神堂)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제사가 있는 날 육의전 상가의 자녀들에게 신용을 가르치는 행사가 벌어졌습니다. 행사는 먼저 신당 옆 아름드리 느티나무에 아이들이 올라가 나뭇가지를 붙들고 늘어지게 합니다. 그리고 가지 끝으로 조금씩 옮겨가게 하지요. 그러는 동안 바지 끈이 느슨해져 바지가 벗겨지고 그것을 보는 행인들이 손가락질하며 웃어도 손을 놓지 못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가지 끝에 이르면 한 손을 놓으라 합니다. 정말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지요. 이를 '복가지타기'라 하는데 한번 복인 곧 단골을 잡으면 놓지 말기를 “가지타기”처럼 하라는 신용 교육입니다.

그만큼 육의전 상인들은 신용을 귀하게 생각했고, 단골손님 명부인 ‘복첩’을 넘겨주는 것이 그들의 상속 관례였습니다. 복첩은 신주와 나란히 모실 정도였고, 육의전의 규모는 가게의 크기나 거래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복첩의 두께가 결정했지요.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