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2. 농민뿐 아니라 세조임금도 마셨던 술 막걸리

  • 등록 2009.04.01 05:54:33
크게보기

1532. 농민뿐 아니라 세조임금도 마셨던 술 막걸리

세조실록 8년(1462) 4월 14일 자 기록에 보면 “내가 젊었을 때에 화천군(花川君)의 집에 이르니, (중략) 막걸리 두어 잔을 마시고 나왔다.”라는 세조가 한 말이 보입니다. 또 고려 이규보의 글에도 나오는 것을 보면 막걸리는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마셔온 전통술이며, 농민뿐만 아니라 임금도 마셨던 술입니다.

막걸리는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한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며,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고려의 명문장가 이규보는 “나그네 창자는 박주(薄酒)로 씻는다”는 시구를 남겼는데 이 박주도 막걸리라고 하지요. 또 배꽃 필 때 누룩을 만든다 해서 이화주(梨花酒)였고, 탁주(濁酒)·농주(農酒)·백주(白酒)·회주(灰酒) 등으로도 불렀습니다. 그런가 하면 제주도에 유배된 인목대비의 어머니 노씨가 술지게미를 재탕한 막걸리를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해서 모주(母酒)라는 이름도 얻었다고 합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