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4. 임금의 익선관은 매미 날개를 닮았다

  • 등록 2009.04.02 01:45:10
크게보기

1534. 임금의 익선관은 매미 날개를 닮았다

조선 후기 조재삼의 책 ≪송남잡지(松南雜識)≫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습니다. “매미 날개가 나지 않은 모양의 관은 서리(書吏)의 것이고 ‘승두(蠅頭)’ 곧 파리 대가리라고 한다. 날개가 나려고 하는 모양은 모든 벼슬아치 곧 백관의 관이니 ‘사모(紗帽)’이고, 날개가 선 모양은 임금의 관 곧 익선관(翼善冠, 翼蟬冠)이다.” 그를 보면 조선시대 관은 한결같이 매미 날개를 기준으로 하는데 날개가 없는 것은 서리, 날개가 옆으로 난 것은 백관, 날개가 위로 선 것은 임금의 관이었습니다.

이렇게 관이 매미 날개 모양을 한 것은 늘 매미의 오덕을 잊지말라는 뜻이었답니다. 매미의 입이 곧게 뻗은 것은 선비의 갓끈과 같은데 배우고 익혀 선정을 베풀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슬이나 나무 진을 먹고사니 맑음(淸)이요. 농부가 가꾼 곡식이나 채소를 해치지 않으니 염치(濂恥)가 있고, 다른 곤충과 달리 집이 없으니 검소 (儉素)하며, 늦가을 때를 맞추어 죽으니 신의(信義)가 있다는 것이지요.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