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2. 재산 대신 복첩을 물려주었던 육의전 상인들

  • 등록 2009.06.11 01:58:54
크게보기

1592. 재산 대신 복첩을 물려주었던 육의전 상인들

조선시대 종로에는 독점적 상업권을 부여받고 나라에서 필요한 물건을 대주던 여섯 종류의 큰 상점 곧 육의전(六矣廛)이 있었습니다. 이 육의전 가게들에는 복첩이란 것이 있었는데 이는 단골손님의 이름을 적은 수첩입니다. 그래서 복첩이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단골손님은 많은 것이고, 그것이 그 가게의 규모를 가늠하는 것이었지요. 이 복첩은 조상의 위패와 나란히 모실 정도였으며 그 단골손님 가운데는 3대에서 7대까지 내려오는 단골손님인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이 육의전 가게들은 아버지가 늙으면 자식에게 재산이 아닌 복첩을 물려주었지요. 육의전에 제사가 있는 날 아이들이 느티나무가지에 매달려 가지 끝으로 옮겨가게 합니다. 바지가 벗겨지더라도 손을 놓을 수는 없습니다. 이를 “복가지타기”라 했는데 그처럼 단골을 잡으면 어떻게든 놓지 말라는 신용교육을 그들은 했던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