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1. 고려시대 공민왕 때까지도 피붙이 사이 혼인

  • 등록 2009.06.24 01:58:28
크게보기

1601. 고려시대 공민왕 때까지도 피붙이 사이 혼인

고려왕조의 피붙이 사이 혼인은 제2대 혜종(惠宗)이 맏공주를 아우 소(昭)의 아내로 삼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조선 초기 김종서(1390~1453)· 정인지(1396~1478) 등이 쓴 ≪고려사(高麗史)≫ <충선왕세가(忠宣王世家)>를 보면 “문무양반들은 동성혼인(同姓婚姻)을 하지 말 것이며, 외가 사촌(四寸)도 구혼(求婚)할 수 없도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는 피붙이 사이의 혼인을 못하게 한 것이죠.

하지만, ≪고려사≫ <공민왕세가(恭愍王世家)>를 읽어보면 “공민왕 15년 (1366년) 왕씨를 익비(益妃)로 삼았다."라는 내용이 보입니다. 익비는 제8대 임금 현종의 아들인 평양공(平壤公) 기(基)의 13대손인 덕풍군(德豊君) 의(義)의 딸입니다. 이를 보면 고려왕조는 제31대 공민왕 때까지도 여전히 피붙이 사이의 혼인을 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 : ≪조선여속고(朝鮮女俗考)≫, 이능화, 동문선, 1990

김영조 sol119@empa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