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8. 여름의 필수품, 부채이야기

  • 등록 2005.08.21 06:15:27
크게보기

418. 여름의 필수품, 부채이야기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는 일찍부터 부채가 필수품이었는데 서양에선 부채를 진주, 비단 등과 함께 매우 귀중한 물건으로 여겼습니다. 한국에서는 가늘게 쪼갠 댓개비로 살을 만들고, 종이나 헝겊을 발라 부채를 만들었는데, 가장 좋은 것으로 전주와 전남의 남평, 나주 등지에서 나는 부채를 꼽습니다.

부채의 종류에는 새의 깃으로 만든 우선(羽扇), 태극선(太極扇) 등의 둥글부채, 합죽선(合竹扇:접었다 폈다 하는 부채) 등의 접선(摺扇), 햇볕을 가리기 위한 윤선(輪旋)처럼 특별한 쓰임새의 별선(別扇) 따위가 있습니다. 부채는 더위를 쫓는 것 말고도 전통혼례 때 얼굴 가리개로 쓰는 의례용, 화가 등이 부채에 그림이나 시 구절을 써 넣은 취미와 장식의 역할로도 썼습니다. 또 전통무용과 무당들이 굿을 할 때에도 씁니다. ‘가을부채’란 말이 있는데 이는 ‘철이 지나 쓸모없이 된 물건’을 말합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