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2. ‘뉘’란 말을 아시나요?

  • 등록 2005.10.03 15:33:47
크게보기

462. ‘뉘’란 말을 아시나요?

‘뉘’란 우리 토박이말에는 5가지가 있습니다. ‘누구’의 준말이 ‘뉘’이며, 살아가는 한 세상을 뜻하기도 합니다. 또 ‘뉘누리’의 준말로 소용돌이를 이야기하기도 하며, 자손에게 받는 덕을 말하는데 ‘뉘를 보다’라고 씁니다. 그런가 하면 방아를 찧은 쌀 속에 섞인 겨가 벗겨지지 아니한 벼 알갱이를 뜻하는 말도 됩니다. ‘조선가요집’ 중 시집살이엔 “아가 아가 새아가야 / 밥에 ‘뉘’도 너무 많다 / 밥에 ‘뉘’를 ‘뉘’라 합나’라는 노래도 있습니다.

세상의 사물 중에도 ‘뉘’가 있지만 사람들 속에도 ‘뉘’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그 ‘뉘’를 우리는 잘 가려내지 못합니다. 그것은 검정새치(같은 편인 체하면서 남의 염탐꾼인 사람, 검정머리가 흰 새치인 척한다는 뜻)로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뉘’는 쌀만이 아닌 세상 속에서도 가려내야할 것입니다. 또 혹시 내가 세상의 '뉘‘는 아닌지 뒤돌아봅니다.


참고 : “살려 쓸 만한 토박이말 5000” / 최기호, 한국문화사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