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7. 국악기 중 ‘축’과 ‘어’를 아십니까?

  • 등록 2005.10.18 15:07:15
크게보기

477. 국악기 중 ‘축’과 ‘어’를 아십니까?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셔 놓은 사당(종묘)에서 지내는 제사는 종묘제례이고, 여기서 연주하는 음악인 종묘제례악에 사용하는 악기 중에는 ‘축’, ‘어’ 따위의 독특한 것들이 있습니다.

이중 ‘축(柷)’은 고려 예종 때 송나라에서 들여온 악기로 둥근 구멍이 뚫린 나무상자에 꽂힌 방망이채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쳐 소리를 냅니다. 종묘제례악이나 문묘제례악(공자에게 제사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을 시작할 때 진고(북의 한 가지)와 함께 사용됩니다.

또 ‘어(敔)’는 엎드린 호랑이의 모양으로 나무를 깎아 만들었는데 호랑이의 등에 27개의 톱니가 있습니다. 연주할 때는 9조각으로 갈라진 대나무 채로 먼저 호랑이머리를 3번 치고, 이어 톱니를 대나무 채로 3번 긁어내립니다. 역시 송나라에서 들여온 후 종묘 및 문묘제례악에서 끝남을 알리는 신호악기로 사용합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