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2. 얻고 잃음에 마음을 두지 말아라.

  • 등록 2005.11.02 15:18:47
크게보기

492. 얻고 잃음에 마음을 두지 말아라.

“비록 작은 재주라도 잊은 바가 있은 뒤에야 능히 이룰 수 있다. 하물며 큰 도는 말할 것이 없다. 최흥효는 나라에서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이다. 일찍이 과거에 나아가 답안지를 쓰는데, 한 글자가 왕희지의 글씨와 비슷하게 써졌다. 앉아서 하루종일 살펴보다가 차마 버릴 수가 없어 답안지를 품에 넣고 돌아왔다. 이는 얻고 잃음을 마음에 두지 않은 것이라 말할 것이다.”

위 글은 조선후기 실학자 박지원이 쓴 ‘형언도필첩서’에 나오는 것입니다. 몇 년에 한번 열리는 과거 시험장에서 글씨 하나에 미쳐서 차마 답안지를 제출하지 못하고 품에 안고 나온 명필의 이야기입니다. 그가 얻고 잃음에 마음을 두지 않았기에 명필이 되었다는 이야기지요. 남들이 하는 대로 해서는 희망이 없습니다. ‘적당히’가 아닌 한 가지에 미치는 것과 얻고 잃음에 초연하는 것이야말로 성공하는 길일 것입니다.

참고 : “죽비소리"(정민. 마음산책)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