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김치에 고춧가루를 쓰기 시작한 것은 18세기부터

  • 등록 2005.11.09 14:58:24
크게보기

499. 김치에 고춧가루를 쓰기 시작한 것은 18세기부터

17세기 한글로 쓴 최초의 조리서 ’음식디미방’을 보면 ‘산갓김치’ 담그는 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거기엔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있습니다. 반면 19세기 초 백과사전인 ’규합총서‘에는 고춧가루를 쓰고 있습니다. 16세기 말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고추가 18세기부터 김치와 각종 음식에 쓴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부터 김치의 역사가 바뀌어 소금, 후추, 천초 따위로 담백하게 담그던 김치가 매운맛으로 변한 것입니다. 동시에 고춧가루는 고추장이라는 새로운 저장식품도 만들어냈습니다.

조선 후기의 농가풍습을 노래한 <농가월령가> ‘시월령’은 저장식품의 백미인 김장김치를 담는 이야기를 합니다. “무, 배추 캐어 들여 김장을 하오리라. 앞 냇물에 깨끗이 씻어 간을 맞게 하고, 마늘, 생강, 파에 젓김치, 장아찌라. 큰 독에 작은 독, 바탕에는 항아리라. 양지쪽에 헛간 짓고, 짚에 싸서 깊이 묻고, 무도 얼지 않게 간수하소.”


참고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한국역사연구회, 청년사)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