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5. 스스로 태워 주위를 맑게 하는 향이 되기를

  • 등록 2005.12.16 00:17:04
크게보기

535. 스스로 태워 주위를 맑게 하는 향이 되기를

우리 선조는 책을 읽고 차를 마시며 거문고를 탈 때엔 늘 향을 피웠습니다. 또 여름철의 모깃불도, 한가위에 먹는 솔잎 향기가 밴 송편과 이른봄의 쑥과 한증막 속의 쑥냄새, 그리고 단오날 머리를 감는 창포물도 또한 우리의 삶을 건강하게 만드는 향기의 하나였지요. 그리고 장롱 안에 향을 피워 향냄새를 옷에 배이게 하고(훈의:薰衣), 옷을 손질하는 풀에 향료를 넣어 옷에서 절로 향기가 스며 나오게 하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국화로 베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머리와 눈을 맑게 할 수 있고, 탁한 기운을 없앤다고 생각했습니다.

“향을 피우며 차를 마신다. 먹을 갈고 흰 종이에 글씨를 쓴다. 그 마음에도 차의 향기와 먹의 내음 그리고 글씨에 담기는 향기로운 뜻이 말없이 어울릴 것이다. 향을 피우는 사람 또한 스스로를 태워 주위를 맑게 하는 향을 닮기를 꿈꾼다." ‘향기를 찾는 사람들’ 박희준 대표의 말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