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2. 누비옷으로 만드는 아름다움과 보온

  • 등록 2006.01.12 05:33:26
크게보기

562. 누비옷으로 만드는 아름다움과 보온

한복을 입었던 옛사람들은 한겨울 추위를 누비옷으로도 견뎠습니다. 누비는 2겹의 옷감 사이에 솜을 넣고 줄줄이 홈질하는 바느질입니다. 옷감의 보강과 보온을 위한 것으로 몽골의 고비 사막 일대에서 시작되어, 기원전 200년쯤 중국과 티베트에서 쓰였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엔 치마, 저고리, 포, 바지, 두의(頭衣), 신발, 버선. 띠 등 옷가지와 이불에 따위에 누비가 다양하게 쓰였습니다.

누비는 원래 솜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만, 아름다움을 위한 목적도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이전 출토된 옷이 없어 확인할 수가 없으나, 일본 나라시대의 정교한 누비옷 유물이 있음을 보아, 한국에서는 이보다 앞선 때부터 누비를 해 왔을 것입니다. 누비는 무늬의 모양에 따라 줄누비, 잔누비, 오목누비 따위로 나뉩니다. 이 가운데 홈집이 촘촘한 잔누비는 홈질줄의 간격이 1밀리미터 정도인데 정말 정교하고 아름답습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