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쓰는 말 중 가장 많이 쓰는 말은 무엇일까요? 1950년대 우리말의 잦기 조사가 처음 이루어진 이후 지금까지 여러 차례 조사가 있었습니다. 얼마 전에 국립국어원에서 1990년대 현대소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가 나왔는데 소설은 그 시대의 현실 말글을 가장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입니다. 이 보고서 중에는 몇 가지 재미있는 내용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인 닡말은 ‘이다’로서 전체의 3.34%를 차지합니다. 그 뒤를 대이름씨 ‘나’가 이었고, ‘것, 수, 있다, 하다, 없다, 되다, 아니다’ 따위가 많이 쓰였습니다. 대체로 의미와 기능의 폭이 넓은 낱말들입니다. 50위 안에 든 한자말은 한 낱말로서 33위에 ‘여자’가 있으며, 100위 안에도 여덟 낱말 정도입니다. 이것은 사전에 실린 한자어가 우리말 전체의 70%에 이른다고 하지만, 실제 말글생활에서의 비중은 의외로 낮음을 말해줍니다.
참고 :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 한겨레신문사 중 ‘우리말 사용 빈도, 권재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