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1. 어려운 한자말, 외래말은 토박이말로 바꾸자

  • 등록 2006.02.01 02:49:54
크게보기

581. 어려운 한자말, 외래말은 토박이말로 바꾸자

우리는 흔히 한자말이 간단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횡단보도’보다는 ‘건늠길’이, ‘중복어’보다는 ‘겹말’이, ‘내연의 처’보다는 ‘곳갓’이, ‘야속(野俗)하다’보다는 ‘고깝다’가 더 짧고, 정감이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외래어 ‘모자이크’는 ‘쪽모이’로, ‘미니스커트’는 ‘깡뚱치마’로, ‘액세서리’는 ‘꾸미개’로, ‘플러그’는 ‘꼬지개’로 바꿔 쓰면 어떨까요?

이밖에 ‘곡해(曲解)하다를 ’곱새기다‘로, ’긍정‘은 ’여김‘, ’부정’은 ‘지움’으로, ‘미풍’은 ‘가만한 바람’으로, ‘미인’은 ‘고운매’로, ‘분식’은 ‘밀컷’으로, ‘서약서’은 ‘다짐글’로, ‘여명’은 ‘갓밝이’로, ‘왜곡’은 ‘거짓꾸미기’, ‘연인’은 ‘그린내’, ‘퇴고’는 ‘다듬어쓰기’, '회유책'은 ‘달램수’로 바꿔 쓰기를 권합니다. 처음엔 좀 어색할 수 있어도 자꾸 쓰면 훨씬 좋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토박이말로 바꿔 쓰려는 노력은 우리 말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일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