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8. ‘훈민정음 만든 원리’의 새로운 해석

  • 등록 2006.02.08 05:55:07
크게보기

588. ‘훈민정음 만든 원리’의 새로운 해석

어려웠던 ‘훈민정음을 만든 원리(제자해)’를 최근 김슬옹 박사가 쉽게 번역했습니다.

“자연의 바탕길은 오직 어둠과 밝음, 여성과 남성 따위의 음양과 쇠, 나무, 물, 불, 흙 따위의 다섯 원소(오행)로 이루어진다. 땅과 우주가 어울려 우주 만물의 바탕(태극)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움직이고 고요해지는 흐름 속에 음양이 생긴다. 무릇 하늘과 땅 사이의 어떤 생물이든 이러한 음양의 이치를 버리고 어찌 살아가겠는가. 그러므로 사람의 말소리에도 모두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다만 사람이 살피지 못했을 뿐이다.

정음을 만든 것은 처음부터 지혜로써 찾아낸 것이 아니라, 다만 그 소리에 담겨 있는 근본 이치를 밝혀냈을 뿐이다. 이처럼 자연을 움직이는 이치와 말소리를 내는 이치가 본래 같은 것이니, 훈민정음과 같은 자연의 문자를 쓴다는 것은 곧 하늘과 땅, 그리고 귀신과 더불어 그 문자를 쓰는 것과 어찌 같지 않겠는가.“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