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9. 김슬옹 박사가 정리한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과정

  • 등록 2006.03.02 03:51:12
크게보기

609. 김슬옹 박사가 정리한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과정

훈민정음 언해(사진, 보물 제745호, 서강대 도서관 소장)’ 앞 부분을 풀이하면 “(우리)나라말은 중국말과 달라, (우리말은) 한자로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므로 우매한 백성들은 끝내 자신들이 하고 싶은 말을 능히 (한자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았다. 내 이를 딱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누구든 쉽게 익혀 날마다 편하게 사용하게 할 따름이다.”가 됩니다.

김슬옹 박사는 이를 통해서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창제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교화의 필요성(교화주의) → 한문과 이두의 불편함(자주정신) → 하층민 언어생활 주목 (민본주의) → 가장 쉬운 문자로 창제(언어의 과학성) →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쓰게 함 (언어의 실용성)” 이는 세종임금이 훈민정음을 왜 만들었는지 잘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