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영산줄다리기’김종곤 명예보유자 별세

  • 등록 2022.12.13 11:47:30
크게보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무형문화재 ‘영산줄다리기’ 김종곤(1938년생) 명예보유자가 노환으로 12월 12일(월) 오전에 세상을 떴다. 빈소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군공설장례식장 1분향실(055-533-8510)이며, 발인은 12월 14일(수) 아침 7시 30분, 장지는 함안하늘공원이다.

 

유족으로는 최순덕(부인), 김태형(아들), 김양미・김희경(딸)이 있다.

 

 

※ 국가무형문화재 영산줄다리기(1969.2.11. 지정)

“영산줄다리기”는 정월대보름에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서 전승되는 전통놀이로, 마을을 동서로 갈라 두 패로 편을 짜서 진행한다. 줄의 형태나 놀이 방법 등은 여타 지역의 줄다리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줄다리기에 앞서 서로 기선제압을 위해 벌이는 진(陳)잡이가 특징적이다.

* 진잡이: 줄다리에 참여하는 이들이 자신의 소속을 나타내는 대나무 깃대를 이용하여

서로 치고받는 놀이

 

일제강점기에 전승이 중단되었으나 영산줄다리기 초대 보유자인 고 조성국(1919~1993)을 중심으로 영산 지역 민속놀이인 줄다리기와 쇠머리대기를 복원하는 노력이 진행되어, 1963년 영산 3・1민속문화제에서 시도된 뒤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와 대학가와 사회단체의 관심에 힘입어 전국의 대학교 축제에서 대동놀이로 활발하게 행해진 바 있으며,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전국 여러 축제 현장에서도 전승되고 있다.

 

 

김종곤 명예보유자는 1938년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서 출생하였으며, 젊었을 때는 부산과 서울 등에서 명찰 관련 일을 생업으로 하였다. 30대에 들어 영산중학교 당시 선생님이었던 고 조성국을 다시 만나 영산줄다리기에 입문하여 줄꼬기를 돕는 등 줄과의 인연을 시작하였다. 이후 전국 대학가에서 줄다리기가 성행하는 시기에 직접 대학생들과 함께 줄을 꼬고 그들을 지도하면서 여러 환경에 따른 다양한 줄 제작 사례를 경험하고 내공을 쌓았다.

 

이를 기반으로 1987년 전수교육조교(현 전승교육사)가 되었으며, 1995년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보유자가 된 이후에도 늘 현장을 사진으로 찍고 글로 기록하여 《화보로 보는 영산줄과 대학줄》(1999), 《영산줄의 발자취》(2011), 《중국 조선족의 줄다리기》(2016) 등을 펴냈다. 국내를 넘어 일본 줄다리기 지역을 답사하는 등 줄다리기에 관한 끊임없는 탐구로 후배 전승자들에게 귀감이 되어 왔으며, 2008년 명예보유자로 인정받았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