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사비 왕궁의 구조 보이는 건물터ㆍ도로 유구 확인

  • 등록 2024.12.11 11:57:47
크게보기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16ㆍ17차 발굴성과 공개설명회 열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백제 사비기 왕궁 시설이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 진행 중인 16차(2022년~) 및 17차(2024년~) 발굴 조사를 통해 왕궁 관련 건물지와 도로로 추정되는 최신의 유구 조사 성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12월 12일 아침 10시 30분에 발굴현장에서 공개설명회를 연다.

* 발굴현장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96번지(16차) · 74-1번지(17차) 일원

 

 

부여 관북리 유적은 1982년부터 현재까지 모두 17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사비왕궁의 대략적인 내부 구조를 가늠할 수 있는 왕궁 관련 다양한 시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층 더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2022~23년도에 진행된 16차 조사에서는 사비왕궁의 내부 공간 구성 방법을 보여주는 축선의 역할을 하는 남북으로 긴 장랑식(長廊式) 백제 건물터 3동을 비롯하여 성토대지, 배수로, 구덩이 등이 조사되었으며, 건물지의 폐기층과 3개의 구덩이에서 칠피갑옷이 확인됐다.

* 축선: 건물이나 건축 배치 등 구성의 중심선

* 장랑식(長廊式) 건물 : 궁과 사찰에서 확인되는 중심건물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만든 긴 건물

* 건물지 폐기층 : 건물이 폐기되거나 부서진 후 그 잔해들이 남아있는 층

* 칠피갑옷: 옻칠된 가죽을 연결하여 만든 갑옷

 

기존에 일부만 파악됐던 2호 건물터의 전체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2호 건물지는 1호 건물터의 동편에 위치하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후대에 쌓은 유구로 인해 경계가 불분명했던 남쪽 범위도 파악할 수 있어 건물지의 전체 규모는 동-서 1칸, 남-북 8칸, 길이는 25.5m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밖에 조사지역의 남동쪽 경계에 있는 구덩이에서도 추가로 칠피갑옷이 출토됐다.

 

 

 

한편 16차 조사지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 있는 17차 조사지역에서는 북쪽과 동쪽 경계에 인접한 도로가 확인되었는데, 현재까지 파악된 도로의 평면 형태는 동-서와 남-북 도로가 교차하는 ‘ㄱ’ 형태로 추정된다. 노면에서는 수레바퀴 흔적과 함께, 수레 이동으로 파인 곳을 보수하기 위해 놓은 기와와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되었는데, 현재의 도로와 위치가 일치하고, 방향성도 맞아 과거와 현재의 토지 이용 양상이 지속해서 이어져 왔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이번에 발굴한 도로 유구는 관북리를 중심으로 한 왕궁 관련 시설의 동쪽 경계부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되며, 사비 왕궁의 구조와 규모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장 공개 행사에는 백제 사비 왕궁유적에 관심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방문할 수 있으며, 눈이나 비가 올 경우 유적 보호를 위해 행사가 운영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041-833-2322)로 문의하면 된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