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 판소리 서편제는 무엇일까요?

  • 등록 2005.04.15 15:02:10
크게보기

291. 판소리 서편제는 무엇일까요?

판소리가 전승되면서 계보에 따라 음악적 특성이 생겼는데, 이를 ‘제(유파)’라고 합니다. 이 제에는 ‘동편제(東便制)’, ‘서편제(西便制)’, ‘중고제(中高制)’, ‘강산제(岡山制)’가 있습니다.

‘동편제’는 감정을 절제하는 창법으로, 소리가 웅장하고 힘이 들어 있습니다. 또 소리는 쭈욱 펴며, 계면조 가락이 별로 없습니다. ‘서편제’는 전라도의 서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소리의 색깔이 부드럽고, 구성지며, 애절한 느낌을 줍니다. 부침새의 기교가 많고 슬프고 애타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음조(계면조)로 정교하게 부릅니다.

‘중고제’는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지역에 전승된 소리인데, 그 개념이 모호하여 '비동비서 (非東非西:동편제도 서편제도 아님)'로 말합니다. ‘강산제’는 체계가 정연하고 범위가 넓은데 너무 애절한 것을 지양하여 점잖은 분위기로 이끌었고, 삼강오륜에 어긋나는 대목은 없애거나 고쳤습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