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3. 큰비가 아닌 태종우이기를

  • 등록 2006.07.18 02:30:16
크게보기

743. 큰비가 아닌 태종우이기를

요즈음 큰비가 내려 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비가 큰비로 내리면 사람에게 고통을 주지만 적당히 내리는 비는 농사에 큰 도움을 줍니다. 옛 사람들은 태종우(太宗雨: 태종 임금이 내리게 하는 비)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조선 3번째 임금 태종이 아들 세종에게 임금자리를 물려준 4년 뒤인 1422년 온 나라가 가뭄에 고통을 받았습니다. 병으로 누워있던 태종이 말했습니다. “가뭄이 심해 백성이 어찌 살아갈까? 내가 죽으면 하늘에 말해야 하겠다.” 그러자 그 때문인지 비가 내렸고, 온 나라엔 풍년이 들었습니다. 그날이 5월 10일이었는데 그 뒤 해마다 그날이면 비가 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5월 10일에 내리는 비를 태종우라고 했습니다. 임금이 백성을 끔찍이 사랑하면 하늘도 감복하는 모양입니다. 조선시대 가뭄이 들면 임금이 자신의 탓이라며 식음을 전폐했다는데 요즘 어디 그런 정치인은 없나요?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