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병의 선봉장 "김도현"

  • 등록 2014.07.10 09:30:55
크게보기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오백년 선말(鮮末)에 태어나       我生五百末
붉은 피 전신에 어리어               赤血滿空腸
중년의 항일 19년에                    中間十九載
터럭은 추상처럼 변했구나         鬢髮老秋霜
국망에 눈물은 마르지 않고        國亡淚未已
친상에 마음은 더욱 상한다       親沒心更傷
홀로 서 있는 옛산은 푸른데     獨立故山碧
백계)百計)에 무일방(無一方)이라百計無一方
만리 먼 바다가 보고파라          萬里欲觀海
7일이 양을 회복하는 동지이니 七日當復陽
희고 흰 천 장 물결이                  白白千丈水
족히 내 한 몸 간직하겠구나      足吾一身藏            - 김도현 의병의 '절명시'-

 김도현([1852-1914) 선생은 한말 대표적인 의병장 가운데 한 사람으로 1896년 영양 청량산에서 거사하여 경북ㆍ강원지역의 의병부대와 연합작전을 전개하였고, 1905년 상소투쟁과 더불어 격문을 지어 의병 궐기를 촉구하였으며, 1914년 국권회복의 염원을 안고 동해 바다에서 투신 순국하였다.

   
▲ 의병장 김도현

선생은 1852년 경제적으로 풍요했던 집안에서 태어나 유교적 가르침 속에서 성장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으로 유림들은 의병을 일으킬 준비에 나섰다. 선생은 영양읍에서 통문을 돌리고 영양지역 유생들과 의병 일으킬 일을 논의하였으며, 이듬해 2월 청량산에서 의병진용을 편성하여 무기를 조달하고 의병을 모집하였다.

선생은 의병부대의 통합을 시도하여 자신의 부대를 예안의 의병부대인 선성의진에 합류시켜 중군장을 맡게 되었고, 경북지역 7개 의병부대의 대표들과 함께 회맹의식을 갖고 승리를 기원하였다. 1896년 3월 연합의진은 상주 태봉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병참부대를 공격하여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다.

1896년 6월에는 민용호가 이끌던 강릉의진과 연합하여 강릉 대공산성, 보현산성 및 삼척전투에서 관군에 대항하여 전투를 벌였다. 이후 선생은 선유어사의 권유를 받고 1896.10.15. 전기의병에서 마지막으로 의병부대를 해산하였다.

   
▲ 김도현 의병장의 순국 도해비 (경북 영덕군 영해면 대진리)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고 외교권이 박탈되자 선생은 을사5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고, 여러 나라 공사관에 「포고서양각국문(布告西洋各國文)」을 보내 일제의 전횡을 막는데 도와달라고 호소하였다.

상소투쟁이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1906년 1월 선생은 다시 한 번 투쟁할 것을 각오하고 포군 5~60명을 축으로 의병을 일으켰으며, 광무황제의 밀칙을 받고 삼남지역의 각 군에 「의격고삼남각군문(擬檄告三南各郡文)」등을 보내어 의병 궐기를 촉구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여 스승 이만도가 자정(自靖) 순국하자 선생은 최후의 방법으로 도해순국(蹈海殉國)을 결심하였다. 1914년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동포들에게 드리는 글(與國內同胞)」과 절명시를 남기고, 치명수지(致命遂志)의 길을 선택하여 경북 영덕의 동해바다에서 투신 순국하였다.

   
 ▲ 김도현 의병활동 기록

정부에서는 1962년 선생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하였으며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도현 선생을 2014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공훈>
○1895년 영양 검산에서 거의하여 청량산에서 모병 활동
○1896년 안동 유시연 의진 등과 합세하여 안동부 공략
○1896.10.15까지 경북 지역에서 을미의병 중 최장수 활동
○1905년 상소 투쟁, 1906년 삼남지역의 의병 활동 촉구
○1909년 학교 설립, 1914년 동해로 가서 투신 순국

<출처: 국가보훈처>

 

 

이윤옥 기자 59yoon@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